전체 글
-
[항해일지]20220704-20220710코딩공부/WIL 2022. 7. 13. 01:43
이번 주에는 MVP기능 들을 나눠 각자 맡은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신경을 많이 썼다 그리고 간간히 막히는 부분에서 팀원들의 도움을 받았는데 가장 뜻깊다고 생각했던 부분은 아마 그저께 쓴 것 같은데 build를 사용해서 response와 request로 리턴과 파라미터 값들을 감싸준 것이다 entity를 바로 사용하면 데이터 자체가 밖으로 드러나는 것이기 때문에 듣기만해도 별로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중간과정에서 responseDto로 entity를 감싸는데 자꾸 헷갈려서 몇 번이나 고쳐쓰기를 반복했다 우리 조의 잘하시는 백엔드 두분께서 많이 도와주셨다 두 분과 같이 작업하면 많이 배워가는 기분이라 같이 코드 맞춰볼 때 틈틈히 질문한다 반대로 내 코드를 맞출 때면 긴장하곤 한다.. 내일부터..
-
[항해일지]20220709코딩공부/[항해일지] 2022. 7. 11. 23:54
오늘은 급하게 내가 맡은 기능을 모두 끝내버렸다 오전에 70-80 프로의 기능을 만졌는데 만지고 보니 잠이 덜 깼는지 기능 서너개의 request 부분과 response 부분을 잘못봐서 만들어버렸다 request 부분을 보고 response로 만들어버린 건데 두 눈을 의심했다 어쩐지 하면서도 이상하다 했다.. 안그래도 부족한 실력에 열심히 만든다고 머리에 과부하가 와서 점심먹고 정신 차린뒤에 수정하자 생각했다 그래서 build를 통해 public ResponseEntity getHome(Long cafeId) { Boolean delivery = cafeRepository.findByCafeId(cafeId).getDelivery(); String intro = cafeRepository.findByCa..
-
[항해일지]20220708코딩공부/[항해일지] 2022. 7. 9. 03:55
오늘은 카페 신청기능을 구현했는데 사실 이건 구현하다가 자꾸 막혀서 다른 기능 부터 구현하고 온 것이다 막힌 부분은 repository에 save 하는 부분이다 우리 조는 entity를 바로 사용하지않고 requestDto나 responseDto를 통해 감싸주기로했는데 받아온 정보를 reqeustDto에 담고 그것을 repository에 바로 저장하려고했다 이 때까지 save가 entity만 가능한 것을 모르고 있었다 그래서 entity에 생성자를 만든 후 builer를 사용해서 entity로 저장한 뒤 repository에 저장을 하는 방법을 조원분께 배웠다 @Builder public Register(RegisterRequestDto registerRequestDto, User user) { this..
-
[항해일지]20220707코딩공부/[항해일지] 2022. 7. 8. 02:50
오늘은 카페 상세 조회 부분을 만들었다 난관에 봉착했던 부분은 배너 부분인데 여기에 포스트의 사진들이 세개 들어갈 것이다 내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포스트 레포지토리에서 포스트를 꺼내와 사진을 꺼내는 것인데 그래서 일단 postList 변수를 만들어 카페아이디로 포스트레포지토리의 포스트들을 담았다 그리고 이미지 리스트라는 어레이 변수 만들고 for문을 돌려서 사진을 하나씩 넣어줬다 그리고 제일 뿌듯 했던 부분이 나온다 // 카페 상세 페이지 배너조회 public ResponseEntity getBanner(Long cafeId) { List postList = postRepository.findAllByCafeId(cafeId); // List imageList = postRepository.findBy..
-
[항해일지]20220706코딩공부/[항해일지] 2022. 7. 7. 02:17
오늘 좋아요 기능을 완성했다 구현한 기능은 좋아요가 돼있는지 체크랑 좋아요 누르기이다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ikeController { private final LikeService likeService; // 좋아요 여부 체크 @GetMapping("/api/{postId}/like") public ResponseEntity checkLike(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quest, @PathVariable Long postId ) throws NoSuchAlgorithmException { Long userId = userInfoInJwt.getUserId_InJWT(httpServletReque..
-
[항해일지]20220705카테고리 없음 2022. 7. 6. 02:06
까먹기 전에 빨리 써야겠다 사실 오늘은 몸이 너무 안좋아서 거의 건드리지 못했다 그래도 이전에 구현했던 좋아요 기능을 조금 만지고 자려고 했다 예전에는 이렇게 코드를 짰었는데 이렇게 바꾸었다 에러처리 부분이 바뀌었는데 코드를 만들고 글로벌 익셉션 핸들러에서 에러처리를 하는 방식이다 이게 더 유지 보수가 쉽다고 했던 것 같다 그리고 리턴값이 boolean인데 우리는 리스폰스엔티티로 돌려줘야해서 그부분을 수정해야한다 그리고 메소드 뒤에 throws 는 왜 붙는지 내일 조원분들께 여쭤보고 수정해야겠다 내일 상담다녀와서 이것저것 만져봐야겠다 내일의 나도 화이팅!
-
[항해일지]20220704코딩공부/[항해일지] 2022. 7. 6. 02:03
오늘은 API를 마무리했다 API 명세서를 마무리 해서 각자 파트 분배까지 마쳤는데 드디어 길고긴 회의가 끝나다고 볼 수 있다 API가 무려 37개..!! 그 중에 MVP가 34개 였던것 같다ㅜㅜ 앞으로의 고생길이 훤하지만 그래도 이것만 잘 마치면 성공적으로 성장이 될 것 같다 오늘은 진짜 하루종일 API 얘기만해서 특별한 일이 없었다 그대신 우리 조 회의가 길었던 것 만큼 만들어가다보면 되게 탄탄한 사이트가 될 것이다 다 만들어졌을 때가 벌써 기대된다 앞으론 코드얘기도 써서 잘해봐야지 내일의 나도 앞으로의 나도 화이팅!
-
[항해일지]20220627-20220703코딩공부/WIL 2022. 7. 5. 00:07
사실 이번주는 회의밖에 안해서 기술적인 부분이 막힐 일이 없었다.. 하지만 앞으로 api명세서를 작성하고나면 엄청나게 막힐 것이기 때문에 벌써 머리가 아픈 것 같다 그런 의미로 앞으로 TIL과 WIL에는 기술적인 부분이 많이 기록이 될 것 같다 그게 포트폴리오에도 도움도 되고 스스로에게도 학습이 된다고 하니 바로 적용을 시켜 보려고 한다 이번 주는 팀이 처음부터 끝까지 디테일하게 기획을 짜느라 회의를 오래 했지만 앞으로는 그렇지 않으려니 뭔가 기대도 된다 새로운 주의 나도 화이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