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vscode maven 설정코딩공부/기타 공부 2023. 4. 25. 01:35
회사에서 안되는 기능을 집에서 테스트 하기 위해 최대한 환경을 그대로 하기위해서 vscode와 maven을 사용하려고했다 애초에 회사에서도 테스트용으로 새로 판 프로젝트라 거의 새거이지만 일단 가져왔는데 mvn명령어가 안들었다 설치가 안되어 있었던 것. 그래서 먼저 windows에서 사용할 수 있는 chocolatately를 깔고 choco install maven을 통해 maven을 받았다. windows powershell에서 진행했고 결론은 안됨 그래서 다른 방법인 apache maven 사이트(https://maven.apache.org/download.cgi)에 가서 필요한 버전을 다운받았다 그리고 적절한 폴더로 옮겨 압축을 푼뒤 환경 변수 설정을 해주었다. 결론은 안됨 는 vscode 껐다 켜..
-
SVN 에서 Github로 마이그레이션코딩공부/기타 공부 2023. 2. 20. 23:14
회사에서 저장소를 옮길 일이 있어 열심히 알아봤다 처음이기도 했고 회사와 맞지 않는 상황에서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들도 있어서 쉽지 않았지만 여기저기서 열심히 긁어모아 마이그레이션했다. 까먹으면 나중에 찾아와서 보게 기록해두기 ------------------------------------------------------------ Migration 총정리 - mkdir 이름 // 폴더 만들기 - cd 이름 // 폴더 들어가기 - 깃 깔기 - git svn clone svn저장경로 // svn에서 클론받기 OR - git svn init svn저장경로 // -T trunk -b branches -t tags 이 구조로 돼있으면 맞추기 - git svn fetch // history 가져오기 =>만약 au..
-
20230212 Understanding State코딩공부/React 2023. 2. 12. 22:41
이제 이전에 만드려고 했던 것을 만들어 보는 차례다. total clicks와 click 버튼을 만드는 것인데 문제는 counter는 올라가지만 화면에는 바뀌지 않았다 => render는 한 번만 이루어 지고있기 때문 => onClick이벤트로 counter가 바뀔 때 render를 다시 해줬으면 좋겠다 => render() 함수를 만들어 counter올라가는 함수에 넣어 주고 기존에 있던 render가 적혀있던 자리도 대체 리액트가 좋은 이유: vanila js로 만들었을 때는 숫자가 변하면 그 값이 담기는 span, div도 같이 변화했다 하지만 react는 render할 때 이전의 렌더된 데이터와 이 후 불러올 데이터의 차이를 보고 변하는 부분만 render 해준다고 한다! DOCTYPE html>..
-
20230204 JSX part Two카테고리 없음 2023. 2. 4. 16:03
- 함수로 만들어서 렌더를 할 수 있다 - 시작을 대문자로 해서 기존의 태그들과 구분을 짓는 것이 중요 - function A() {} 형식과 const B = () => ()는 같은 뜻 이다 DOCTYPE html> const root = document.getElementById("root"); function Title() { return( console.log("mouse enter")}>"Hello, I'm a span" ); }; // const h3 = React.createElement( // "h3", // { // id: "title", // onMouseEnter: () => console.log('mouse enter'), // }, // null,- // "Hello, I'm a ..
-
20230202 JSX코딩공부/React 2023. 2. 2. 23:03
- createElement를 대체하려는 것은 개발자들에게 좀 더 편리한 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 JSX는 JavaScript를 확장한 문법 - 브라우저는 JSX를 invalid하다고 생각해서 우리의 코드를 변환시켜줄 Babel이 필요하다 - 개발자 도구로 보면 우리가 바벨에게 넘겨준 코드가 스크립트에, 바벨이 바꾼 코드가 헤드에 담겨져 있다 DOCTYPE html> const root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Title = ( console.log("mouse enter")}>"Hello, I'm a span" ); // const h3 = React.createElement( // "h3", // { // id: "title", // onMouse..
-
[개념공부] @Qualifier코딩공부/개념공부 2023. 2. 1. 22:46
Qualifier 스프링은 @Autowired를 사용해 의존성을 주입한다 bean설정 시 를 사용해 구디 bean 태그 안에 나 태그를 추가하지 않아도 스프링의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적용된 생성자, 필드, 메소드에 대해 의존 자동 주입을 처리한다 만약 동일한 타입을 가진 bean 객체가 두개가 있다면? => * 스프링이 어떤 빈을 주입해야 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스프링 컨테이너를 초기화 하는 과정에서 Exception이 발생 * @Autowired의 주입 대상이 하나여야 하는데 실제로는 두 개 이상의 빈이 존재해 주입할 때 사용할 객체를 선택 불가 * 단, @Autowired가 적용된 필드나 설정 메서드의 property 이름과 같은 이름을 가진 빈 객체가 존재할 경우 이름이 같은 빈 객체..
-
20230131 Recap코딩공부/React 2023. 1. 31. 21:03
리액트로 더 쉬운 코드를 짜기 전에 이전에 만들어 두었던 코드를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1. 리액트와 리액트 돔을 설치 리액트 돔은 리액트 elemet를 가져다 html로 바꾸는 역할 2. element 세개 작성 => div , property X, h3와 button 두개의 element를 render 3. { "tag","props","content" } => props 안에 event listener 등록이 가능 매우 파워풀 다음 시간에는 더 쉽게 이를 만든다 DOCTYPE html> const root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h3 = React.createElement( "h3", { id: "title", onMouseEnter: () => ..
-
20230129 Events in React코딩공부/React 2023. 1. 29. 19:10
이전의 코드에 이벤트를 추가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확실히 그냥 JS보다 쉽고 간결해지는 것을 느꼈는데 다음 시간에는 이 코드들을 더 쉬운 방법으로 바꿔본다고 한다 기대하라고 했다 :) DOCTYPE html> const root = document.getElementById("root"); const h3 = React.createElement( "h3", { id: "title", onMouseEnter: () => console.log('mouse enter'), }, null, "Hello, I'm a span" ); const btn = React.createElement( "button", { onClick: () => console.log("im clicked"), style: { backgro..